무한도전 릴레이툰, 출처: OSEN
정준하는 릴레이툰 특집을 통해 세인트버나드가 되었다. 릴레이툰 특집에선 무한도전 멤버들과 현직 웹툰작가들이 팀을 이루어 인터넷에 만화를 연재한다. 2년마다 가수들과 팀을 이루는 가요제 느낌이 들지만, 음악과는 다른 그림의 매력을 볼 수 있다. 정준하와 팀을 이룬 웹툰 작가 가스파드는 그를 똑 닮은 개로 그려주었다.
플란다스의 개 ‘파트라슈’가 세인트버나드 종이다. 구조견이나 안내견으로 훈련받을 정도로 강하고 지능이 좋지만, 축 늘어진 눈과 귀 때문에 왠지 억울한 인상이다. 덩치는 크지만 속은 여리고 늘 억울한 놀림을 받는 정준하는 세인트버나드를 많이 닮았다. 특징을 잘 잡았다.
선천적 얼간이들 e64, 출처: 네이버 웹툰
가스파드는 이미 정준하를 세인트버나드로 그렸던 적이 있다. ‘선천적 얼간이들’ 64화에서 빙어를 야무지게 잡숫는 준하 형을 만날 수 있다. 준하 형이 오호츠크 해에 있었던 3년 전부터 가스파드는 그를 그려줄 준비가 되어 있었다.
이 작가는 사람을 동물로 표현하는데 뛰어나다. 웹툰 ‘선천적 얼간이들’은 그의 일상 우화다. 작가이자 주인공인 가스파드(거북이)와 삐에르(닭), 산티아고(불테리어), 로이드(산갈치) 같은 그의 친구들이 벌이는 사건들을 그리고 있다. 모험적이고 황당한 그의 일상도 재밌지만, 동물로 그려진 친구들의 캐릭터를 보는 재미도 상당하다. 캐릭터에 대한 배경과 에피소드를 설명한 나무위키를 먼저 봐도 좋을 것이다.
https://namu.wiki/w/%EC%84%A0%EC%B2%9C%EC%A0%81%20%EC%96%BC%EA%B0%84%EC%9D%B4%EB%93%A4/%EB%93%B1%EC%9E%A5%EC%9D%B8%EB%AC%BC
사람을 동물에 빗대는 것은 생각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동물의 특징과 이미지는 사람들 생각 속에 이미 구성되어 있다. 그 공감대를 활용하면 특징과 이미지가 잘 연결되어 읽기 쉬운 글을 쓸 수 있다.
조지 오웰의 소설 <동물농장>
동물농장은 그런 방식으로 동물들을 의인화한 소설이다. 돼지와 말, 당나귀와 개, 닭과 양 등의 동물들은 ‘매너(Manor)’ 농장에 살고 있다. 이름처럼 유럽의 영지(장원)를 상징하는 곳이다. 오웰 선생은 이 동물들의 농장 속에서 1917년의 러시아 혁명을 우화로 빗댄다. 등장하는 동물들도 그 시대의 계급이나 인물들을 표현하고 있다.
소설은 늙은 돼지 메이저 영감의 연설로 시작한다. 카를 마르크스를 상징하는 이 영감은 농장의 부조리와 고통이 농장주인 인간, 존스의 착취로 인한 것이라고 말한다. 영감의 말을 들은 동물들은 농장주를 쫓아내고 모두가 평등한 혁명 농장을 만든다.
인간들을 보십시오. 그들은 생산하지 않으면서 소비만 하는 유일한 동물입니다. 그들은 알도 낳지 못하고 젖도 생산하지도 않고 힘이 없어 쟁기도 못 끌고 토끼를 잡을 만큼 빠르지도 못합니다. 그러면서 그들은 모든 동물들의 주인입니다. 그들은 동물에게 일을 시키고 그 대가로 굶어 죽지 않을 정도의 최소한의 먹이만 주면서 나머지는 모두 자신들이 챙깁니다. 우리의 노동으로 땅을 갈고 우리의 배설물이 그 땅을 기름지게 하지만 막상 우리는 헐벗은 가죽 외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동물농장에서 가장 인상 깊은 동물은 욕심 많은 돼지, 나폴레옹이다. 그는 같은 돼지인 스노우볼과 함께 혁명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탐욕에 눈멀어 정적인 스노우볼을 축출하고 농장의 동물들을 착취하는 독재자가 되어간다. 맛있는 우유와 사과를 독점하고 인간이 사용하던 안채와 침대를 차지하며 점점 인간처럼 변한다. 심복인 개와 양을 이용해 농장의 동물들을 협박하고 스스로 신격화하여 농장을 통제한다.
‘북괴’를 무찌르는 만화 ‘똘이 장군’에서는 김일성을 붉은 돼지로 묘사한다. 동물농장의 나폴레옹을 모티브로 삼았겠지만, 나폴레옹은 꼭 공산주의 독재자만을 뜻하는게 아니라 탐욕으로 거짓과 기만을 일삼는 많은 권력자를 상징하는 것 같다. 돼지의 욕심을 가진 권력자들은 어디서나 볼 수 있지 않은가.
붉은 돼지, 똘이장군, 출처: 네이버 영화
성실하고 착한 말, 복서
하지만 내가 주목하고 싶은 동물은 복서이다. 복서는 성실하고 착한 말이다. 그리고 나는 그에게 가장 마음이 간다. 복서는 문제를 만나면 자신의 신념으로 문제에 맞선다. 그는 ‘내가 좀 더 열심히 일한다’와 ‘나폴레옹은 항상 옳다’라는 두 가지 신념을 지녔다. 복서는 글을 배울 정도로 머리가 좋지 않고, 다른 동물들을 선동할 만큼 말솜씨가 좋지도 않다. 다만 자신이 가진 힘과 정신으로 농장의 잡다한 일을 성실하게 도맡아 처리한다.
성실하고 착한 복서는 나폴레옹의 좋은 영양분이다. 혁명에 벌일 때도, 인간들과 전투를 벌일 때도, 풍차를 만들기 위해 고된 노동을 감당할 때도 그는 용감히 먼저 나섰다. 나폴레옹이 동물농장의 7계명을 고칠 때, 다른 돼지들과 닭들을 숙청할 때, 인간과 교류하며 동물들을 착취할 때에도 그는 지도자 동무를 믿고 묵묵히 따랐다. 남들보다 30분, 45분, 한 시간씩 일찍 일어나며 일한 그에게 돌아온 것은 2급 명예훈장과 병들고 노쇠한 몸뿐이었다. 복서는 은퇴를 앞둔 어느 날, “말 도살 및 아교 제조”라는 의심스러운 글씨가 쓰여있는 마차를 타고 병원에 가는 길이라 믿으며 농장을 떠난다.
복서는 모든 동물들의 경탄의 대상이었다. 복서는 존스 시대에도 훌륭한 일꾼이었지만 이제는 말 세 마리의 몫보다 더 많은 일을 하고 있었다. 농장의 모든 일이 그의 힘센 두 어깨에 걸려 있는 것처럼 보이는 날도 있었다. 아침부터 밤까지 그는 가장 어려운 일이 있는 곳에서 항상 밀고 끌며 일을 했다. 또한, 그는 수탉 한 마리에게 부탁하여 아침에 다른 동물들보다 30분 일찍 자기를 깨워 주도록 했고 아침 일과를 시작하기 전에 가장 급히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곳을 찾아 자발적으로 나서서 일을 하였다. 무슨 문제가 생길 때나 어려움에 부딪힐 때마다 그는, '내가 좀 더 열심히 일해야지!' 라고 말하곤 했는데, 그는 그것을 자신의 좌우명으로 삼고 있었다.
클로버가 너무 무리하지 말고 조심하라고 자주 충고를 했지만, 복서는 그녀의 말에 전혀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내가 좀 더 일한다'와 '나폴레옹은 항상 옳다'는 두 개의 좌우명은 모든 질문에 대한 그의 대답으로 충분한 것 같았다. 복서는 남들보다 30분 일찍 깨워주던 것을 이제 45분 더 일찍 깨워달라고 수탉에게 다시 부탁을 하기도 했다. 그다지 많지 않은 여가시간에도 그는 혼자서 채석장으로 가 깨어진 돌을 한 무더기 모아 아무 도움 없이 풍차를 세우는 곳으로 끌어가곤 했다.
"난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어요. 이런 일이 우리 농장에서 일어날 수 있으리라고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어요. 뭔가 우리에게 잘못이 있는 게 틀림없어요. 내 생각에는 좀 더 열심히 일하는 겁니다. 이제부터 나는 아침에 한 시간 더 일찍 일어나도록 하겠어요." 그러더니 그는 무거운 걸음으로 채석장으로 갔다. 그곳에 도착하자. 돌더미를 두 차례 분이나 풍차 공사장까지 있는 곳으로 나르고 나서 잠자리에 들기 위해 마구간으로 돌아갔다.
복서가 잘 사는 세상을 위해
복서는 수레를 끄는 말이다. 오랫동안 인간의 곁에서 노동력을 제공했던 짐마차의 말이다. 오웰 선생은 아마 그 동물에게서 순종적이고 의무에 성실한 성질을 포착하지 않았을까. 권력에 의문을 제기하기보다 시스템에 순응하고 그 안에서 좀 더 열심히 살아가려는 사람들을 보며 복서의 모습을 발견했을 것 같다.
복서의 삶은 순박하고 불쌍하다. 그러나 그의 삶은 못나지 않았다. 나는 사실 그만큼도 살아내지 못하는 사람이다. 복서처럼 강한 신념을 갖지 못해 이리저리 방황하고 휩쓸려가는 삶을 산다. 신념을 삶 속에서 실현하는 것에도 게으른 사람이다. 그리고 남들보다 일찍 일어나는 것만큼은 정말 해낸 적이 없다. 그에게서 묵묵한 의지와 성실한 실천을 배우고 싶다. 그의 삶은 위대하다. 이렇게 대단한 삶을 살아낸 복서인데, 그 삶이 슬프고 비참한 것은 공평하지 않다.
복서처럼 정직하고 성실한 이들이 아프지 않은 세상을 만들고 싶다. 그런데 어떡해야 그런 세상을 만들 수 있는지 알 수가 없다. 역시 내가 ‘좀 더 열심히’하는 수밖에 없나? 좀 더 열심히 우리 농장의 문제를 발견해야겠다. 우리 주변에 나폴레옹이, 거짓과 기만이 설 자리가 없도록 잘 살펴야겠다. 노새 클로버가 꿈꿨던 미래가, 누구도 비참하지 않은 미래가 이루어지는 날을 함께 만들어가면 좋겠다. 복서 같은 이들이 정말 잘 사는 날을 이루면 좋겠다.
그녀가 나름대로 그린 미래의 꿈은, 모든 동물들이 배고픔과 채찍으로부터 해방되어 모두가 평등하고 각자 자기 능력에 따라 일하고, 마치 메이저 영감의 연설이 있던 날 밤 자신의 앞다리로 오리 새끼들을 감싸 준 것과 같이 강한 자가 약한 자를 보호해주는 그러한 동물들의 사회였던 것이다.
 | - 동물농장
- 국내도서
- 저자 : 조지 오웰(George Orwell) / 김기혁역
- 출판 : 삼성출판사 2015.02.10
상세보기 |